도서관은 공부하려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학생이라면 십분 활용해야 하는 곳입니다. 강의실에서 교수님의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이 학생이라면 공부하기 위해서만 찾는 곳이 아닙니다.
갑 : 어디가? 을 : 수업 갑 : 얼~~공부 열심히 하는데...
위의 대화가 어딘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학생이 수업듣는거랑 공부 열심히하는 거랑 무슨 관계인지...
마찬가지로 도서관가는 학생이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큰 상관이 없습니다. 당연한거니깐..
오히려 학생이 그것도 대학생이 도서관 가지 않고 대학생활을 지속해나간다는 것이 이상한 것이지요.
문과계열의 경우 더욱 그러하고요. 도서관의 정숙한 환경이 공부하는 데 알맞은 환경이기는 하지만 도서관이 공부하라고 있는것도 아니고 학생이 도서관가는 것도 공부하기 위해서만 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식에는 도서관 자주 가는 애=공부 무지 열심히 하는 애 로 굳어진 것 같은데,대학생활중 매학기 10과목 정도 수강한다고 하면 수업내용이나 과제, 시험 대비를 도서관에서 관련 서적들의 도움없이 어떻게 정상적으로 준비할까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 도서관에서 관련서적을 열람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적게 잡아도 10과목을 수강시 한 학기에 제출해야 하는 과제나 레포트만해도 15~20개 정도 될텐데...교양과목과전공과목의 경우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저 정도 분량의 과제를 작성하는데 한 두번 도서관 가서 끝낼 수 있을까요? 단지과제작성시의 예를 든 것 뿐입니다.
수업 중 언급되었던 서적이나 수업내용과 관련된 사실을 찾기 위해 학술지나 전공서를 보기 위해서 또 찾아가봐야 하죠.
도서관에 자주 가는 것은 공부열심히 하는 학생이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도서관에 가지 않았던 학생들이 어떻게 대학생활을 한 건지 생각해봐야겠죠. 문과의 경우.
본격적으로....북경대 도서관 이용법에 관련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우선 북경대 홈페이지는 http://www.lib.pku.edu.cn입니다.
北京大学图书馆
저기서 뽕을 뽑아야합니다.
시간이 남아 도서관을 관람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닌 무언가를 찾기위해서는 저기서부터 시작해야합니다.
북대 도서관의 경우 예전에도 소개했던 바와 같이개가열람실,폐가열람실,공구서열람실,보존본열람실,참고서적열람실,문학서적열람실,특별서적열람실등으로 나뉘어져 있고 개가열람실의 경우층마다 계열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또한 5층에 대만 문헌실과 미국문헌실이 따로 마련되어있고 4층에는 근대에 발간된 잡지나신문부터 시작해서 쫘~악 있습니다.
하나하나 캡쳐하여 사진을 첨부해서 설명하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그렇게 떠서 먹여주는 것은....^^" 이건 아니잖아 " 라고 웃찾사에서 숱하게 외치고 있는바 생략하고
글로써 설명하겠습니다.
검색방법은 전체검색,저자검색,서명검색등이 있고
그외에도 옆에 다른 옵션들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책을 보려고 하고 중국어를 구사할 줄 안다면 그곳에서 보이는 화면들은 그다지...어렵지 않을 겁니다.
원하는 검색어로 검색하면 상응하는 결과물들이 화면에 출력되고
그중에서 살펴보기를 원하는 번호의 查看버튼을 누르면 더 자세한 정보들이 나옵니다.
아싸! 빙고~! 그래 이거다 싶으면
화면 맨 아래 소장열람실을 보고 그곳에 찾아가서 보면됩니다.
구체적 위치는 사서분들에게 물어보거나 대부분 이곳저곳 다닥다닥 붙여놨으니 그것보고 따라가면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대출한 책을 반납하는 곳에 컴터가 쫙 널려 있는데 그곳에서는 인터넷 사용이나 멀티미디어 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구체적인 방법은 이곳에 자세히 서술하는 것보다 그곳에 앉아계신분께 도움을 요청하면 설명해줄겁니다.(불친절할수도 있음^^)
예전에 북대생들의 밥줄. 밥카(식당카드)를 포스팅 했던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학생식당에서 밥카활용편 되겠습니다.
燕南美食의 풍경입니다. 1층에서 밥을 찜하고 2층에서 먹습니다.
면식당, 만두식당,햄버거식당(서양 패스트푸드),중국식 패스트푸드(?)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家园의 풍경입니다.
일반적으로 북경대 학생식당의 경우 점심,저녁시간 전에 미리 음식을 준비해놓고, 코너마다 진열해놓고 ,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선택해서 먹을 수 있게 해 놓았습니다. 청화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일부 음식의 경우 주문 후에 만들거나 아니면 계속 만들면서 팔기도 합니다.
제가 느끼기엔 그들 자신들도 별 다른 것은 없는데...자기보다 더럽고, 돈없고 등등을 무지 재밌어(?)
하더군요...웃음도 참으면서도 계속 터지는 웃음...그럼서도 계속 자제하려는 웃음..그런 웃음이었습니다...국가 경제 효율성에서
중국이 세계 2위라고 하는 자료를 소개하던데...어떤 통계자료를 이용하는지...아래 세계 무슨무슨이라고 하는데
까먹었습니다..진짜 그런가요?인도도 상당히 높았는데...그런거...모르겠습니다..
국민소득 얘기할때도 중국은 1000달러 넘어섰고 중국의 반 수준이라고 하면서 으쓱하는데..솔직히 도토리 키재기 아닌가여?
우리나라10분의1 일본이나 미국같은 선진국에 비교하자면 더욱 심해지져..ㅡㅡ..그런데 인도가 자기보다 못산다느니 어쩌니
하면서...휴~~
맨 나중에는 세계 정,재계인사들의 말을 소개하더군요...클린턴의 "20년내에 중국을 추월할거라던지"...등등...허나 꼭 덧붙이는 말들이 귀에 거슬렸습니다....그런식으로 말하면 도대체 누구말을 믿
어야 하는지...
수업을 들으면서 2가지의 속담이 생각났습니다...이 상황에 아주 딱 들어맞더군요...도토리키재기.
이제 조금 일찍 발전시작한 나라가 이제 다른 발전을 시작한 나라보다 경제성장률도 앞서고 수준도 10년 앞서있다고
자랑하고...휴...그럼서...지금도 이런데...나중에 선진국되면 어떨까? 생각을 또 다시 하게 되더군요...중화사상...사라진
것이 아니라 묻혀있을 뿐이라는 생각만 되풀이했습니다.
후진타오 연설중에 중국은 다시는 패권을 추구하지 않을 거라고 했다던데...누가 뭐라 했습니까?그렇게 말하는게 오히려 이상하고 반감도 들고 패권추구하겠다는 말로 딱 귀에 박혀버리는데요..
2004년부터 북경대는 학생카드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에는 학생증,도서증,밥카드(식당카드^^),은행카드 등등 따로 노는 길을 걸어왔으나 2004년 학생카드를 발급하면서 위의 기능을 모두 한 장의 카드에 쏟아부었습니다.
그와 더불어 도서관 입장 방법에 관해서도 최근 들어 변화가 많았는데요...간략히 설명하자면
1. 도서증을 경비청년에게 보여주고 들어가기...이 때는 사실 학생증이나 도서증이 없다고 하면 학번만 한 번 읊조려 주면 도서관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2. 도서증에 표기된 바코드로 진입하기. 3. 카드터치.
1번의 경우 대문에 서있는 경비청년이 막강한 힘을 구사했으나 후에는 좀 달라졌을 듯 합니다. 그 분들과 협상을 벌인 적은 없어서 협상이 될란가 모르것지만, 문에 기계를 설치한 후에도 그 분들은 서있고 가끔씩 옆의 공간으로 그 분들의 재량으로 입장하는 분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2,3번 경우 큰 변화는 없었으나 방식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기계도 변함이 없습니다.예전엔 불빛에 맞추어서 찍고 지금은 걍 아무렇게나 대기만 하는...그런 차이
입장 후에는 서적이 있는 곳으로 가야겠죠.
북대도서관의 경우 다소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
책은 크게 4종류로 나누어 집니다.
94년 이전 출판(사서분이 찾아주심, 서가에 못 들어감), 94년 이후 출판(개방형 서가에 보관 자기가 찾아서 사서분에게 전달, 보관본(이것도 사서분이 찾아 주시고 특정 장소에서만 열람가능 대출불가,특별보관본(많이 오래된것들)
그 분들의 말씀에 따르면 이렇습니다만 개방형 서가에서도 94년이전의 책이 많이 보이고...하는 것을 보면 명확하게 나눈것 같지 않고 하나의 기준(?)이라고 받아들이면 될 거 같습니다.
개방형 서가의 경우 층별로 섹터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2층엔 사회과학,인문등 문과계열, 3층에 이공계계열, 각 계열별 외국 서적들은 열람실 진입 후 좌회전, 즉 도서관 개방형 열람실 북측에 위치하고 있고 나머지는 전공별 도서분류법에 의거 분리 진열하고 있습니다.
4층에 학술잡지가 있고 5층에는 대만문헌,미국문헌열람실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학위논문 열람실, 문학도서열람실, 새 책 열람실, 참고서적 열람실, 공구서(사전,년감등)열람실등 요래조래 분류해놓았습니다.
서울대편
서울대 도서관의 경우 딱 한 번 가봤고, 그 시간이 모든 도서관을 둘러보기에 충분치 않았기에 많이 부족합니다. 제가 언급한 내용 중에 잘못된 점이나 보충할 점이 있다면 말해주세요 ^^
먼저 서울대의 경우 입장전에 가방을 보관하고 들어가더군요. 물론 북경대도 있습니다. 허나 서울대보다 많이 열악합니다. 개인 자물쇠로 채우던지 아님 걍 사물함에 넣고 들어갔다가 나오는 겁니다.각 층별로 각 열람실 별로 여기저기 사물함이 많이 보입니다만....서울대의 경우 정문에 들어서기전부터 가방을 들고 들어갈 수가 없더군요.또한 서울대의 경우 들어갈 때 바코드를 인식할수 있는 기계와 도난방지 기계가 같이 있었고, 대출은 1층에서 총괄적으로 하는 것 같았습니다. 북경대의 경우 열람실의 종류가 많지만, 열람실마다 사서분들이 입구에 앉아서 대출을 해주죠. 때문에 도난방지 기계도 각각의 열람실입구마다 설치되어 있습니다(为人民服务-.ㅡ)
서울대의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책을 나누어서 보관하기보다는 열람실에 그냥 확 다 몰아놓은 듯 합니다.또한 섹터별 구분은 있지만 한 층에 보관되어 있어 편리하기도(?:?의 이유는 넓어서 좀 불편할지도..) 했고,사서분이 찾기 위해 뭘 적고, 책 나올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직접 해당 서가에서 원하는 책을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다만 조금 아쉬웠던 점은 서가 옆에 앉아서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이 다소 부족하지 않나 생각듭니다. 북경대의 경우 공간이 남아돌아서 인지 몰라도 통로도 넓고 6인용(^^) 책상을 여기저기 많이 배치해두어서 애용하곤 했는데, 그것이 습관이 되어서인지 조금 아쉽기도 했습니다.
그 외에도 1층의 컴터들의 사양이 달랐습니다.ㅡㅡ
도서검색을 위한 컴퓨터의 모니터와 사양부터가 달랐고, 활용범위도 달랐습니다. 북경대의 경우 학교내부망자체도 막아놓았습니다. 다시말해서 학교내부망을 통해서는 인터넷연결없이 도서관,학과,bbs등은 이용할 수 있지만, 도서관 도서검색 컴터에서는 도.서.관. 만 이용가능합니다. 그것도 서서 이용해야 하죠.
하지만 서울대의 경우 앉아서 이너넷도 할수 있고 편리했던 것 같습니다.북경대의 경우 도서검색용 컴터 옆에 이너넷을 위한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컴터들이 유료이용자들을 위해 배치되어있고 그 옆에는 학술자원이용자들을 위한 컴터가 배치되어 있기는 합니다.